요크(YOLK)의 아동인권 문제정의 사례

2020-09-17


아프리카는 부족한 금융 인프라로 인해 모바일결제 시스템이 자연스럽게 활성화되었습니다. 휴대전화는 경제활동의 기반이며, 화폐의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요크는 여기서 아프리카의 두가지 사회문제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첫번째로는 휴대전화를 충전하는 에너지/전기가 보급되지 않았다는 점과 두번째로는 아동노동으로 아이들이 학교에 가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아이들은 일주일에 두세번 정도 걸어서 왕복 6시간 가량 떨어진 타운에 있는 충전샵에 가기도 하고, 가사 및 농장 업무에 투입됩니다. 아이들은 정신적, 육체적으로 취약할 뿐만 아니라, 교육의 기회가 박탈되고 가난의 고리를 끊을 수 없습니다.

데스크/현장 리서치를 통해 기존에 교육, 에너지 관련 지원이 있었지만,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이들의 의존성만 높이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또한 가난한 형편, 개도국의 현 상황, 교육을 받지못한 부모세대, 당장 필요한 수입 등 대외적인 문제와 실질적인 문제들이 복잡하게 얽혀있어 개인과 지역사회의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솔루션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1. 학부모

•아이를 학교에 보내고 싶지만 에너지와 관련된 비용이 큰 부담이어서 아이들이 일을 하거나 휴대전화 충전소에 다녀올 수 밖에 없음

•평균 10만원이 안되는 한달 수입에서 10%를 전기 에너지 값으로 지출해야 함

•전기 인프라가 없으니 핸드폰을 충전할 수도 없고, 밤에 램프를 밝힐 수도 없어 일상 생활에 어려움이 많음

2. 학생

•교육의 기회를 박탈 당함

•정신적, 신체적 위험에 노출됨

•장기적으로 가난, 질병, 폭력 등의 문제로 이어짐

3. 학교

•아이들에게 교육의 기회조차 제공하기 어려움

4. NGO

•에너지가 부족해서 태양광을 보급하고 교육을 위해 교자재를 보급하는 기존의 접근방식이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들의 문화와 생활환경, 근본적 원인 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

•태양광 패널 보급, 교자재 지원과 같은 단순한 기부 형태는 지원이 끊기면 다시 문제상황이 발생됨

•활용되지 못하는 보급품을 많이 발견하였음


▲ 현장리서치

▲ 현지인 인터뷰 


요크는 이 문제의 키를 들고 있는 사람을 찾았습니다. 바로 아이들의 부모님입니다.

이들에게 아이들을 학교로 보낼 수 있는, 아동노동 이상의 가치/재화를 보상했을 때 1차적으로 그들이 비로소 아이들을 학교로 보낼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어떻게 그 여건을 마련해줄 수 있을까?
요크는 개도국의 전기 에너지 가치에 주목했습니다. 특히 아프리카의 경우, 크게는 넓은 땅과 지형적인 요건, 개개인적으로는 가난한 경제적 상황, 넓게는 정치사회적 다양한 요건 등으로 인해,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할 점은, 아프리카 전역에 모바일폰(피쳐폰포함) 보급률이 95.1%로,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보급률인 94%보다 높다는 것입니다.
핸드폰은 이들에게 경제활동(결제)의 수단이자 커뮤니티(지역사회)활동의 수단입니다.

"전기에너지의 가치가 그들의 아동노동임금이나 혹은 그 이상으로의 역할을 한다면, 각 가정의 아이의 미래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이득이기 때문에 학교를 보낼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가지고 에너지 기술과 인간중심 디자인을 결합한 솔라카우를 개발하고 아프리카 케냐에서 프로토타입핑을 거쳐 캄보디아로 확장하게 되었습니다.


솔라카우 프로젝트는 케냐 지역의 초등학교에서 첫 출발을 하였습니다. 학교에 젖소 모양의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고, 아이들에게 우유별 모양의 휴대용 배터리인 ‘솔라 밀크’를 나눠주었습니다. 수업시간 동안 충전하고 하교 시에 집으로 가져가도록 하면, 핸드폰 충전을 위한 아동 노동이 근절되고 교육의 기회 또한 확보할 수 있는 것입니다. 더 나아가 충전을 통해 출결 관리까지 자동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때, 디자인은 수용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솔라카우가 설치되는 개발도상국에서 ‘소’는 문화적으로 매우 특별한 의미를 가집니다. 삶을 윤택하게 만드는 소의 존재와 끊임없이 발전하는 태양광 패널, 그리고 장기적으로 더 나은 삶을 만드는 교육의 기회를 연결시켰습니다. 솔라카우 안에 이러한 은유가 담겨있습니다.

사회이슈에서 출발하여 에너지 기술을 통해 에너지, 사회, 환경 이슈 모두에 접근하였습니다.

학교는 교육 환경을 개선하게 되었고, 아이들은 교육의 기회를 되찾았고, 가정에서는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었습니다. 개도국의 많은 문제를 접할수록 하나의 문제가 또 다른 문제로 연결되어 악순환의 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봅니다. 반대로 사람, 사회, 환경을 모두 고려한 복합적인 솔루션을 통해 하나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면 이러한 구조가 깨어질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기업 소개

요크(YOLK)는 태양광 배터리 제조회사로서 무공해, 신재생 태양에너지를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하는 미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디자인과 기술의 융합으로 혁신적인 제품의 개발 뿐 아니라 사회적 이슈와 에너지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현재 요크(YOLK)는 인간 중심적 사고를 통해 개발된 ‘솔라카우 프로젝트’를 통해 아동노동 근절과 교육 기회 제공을 위한 태양광 충전 시스템을 운영 중에 있습니다.

2 0

MYSC 엠와이소셜컴퍼니  fromtheessue@gmail.com
Copyright © From the E.ssue. All rights reserved. 

MYSC 엠와이소셜컴퍼니  |  fromtheessue@gmail.com
Copyright © From the E.ssue. All rights reserved.